2023년 11월 4일 토요일

75세 이후의 건강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일본에서는 최근 노인을 두 단계로 구분하려는 시도가 한창이다. 65~74세를 ‘준(準)고령인’이라 하고, 75세 이상을 ‘고령인’으로 하자는 내용이다. 
한국에서도 비슷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전문가들은 일본과 마찬가지로 75세를 기준으로 제안한다. 

일산백병원 가정의학과 양윤준 교수는  “사람마다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75세 이후로 신체 기능이 급격히 떨어지고, 80세부터는 앓는 질환이 갑자기 늘어난다”며 “75세 전후로 신체 상태와 건강 관리법이 확연히 다르다”고 말했다. 

65~74세 노인은 혈압·혈당 목표를 중장년층과 비슷한 수준으로 강하게 잡는다. 
체중 감량, 운동 역시 강도 높게 하도록 권장한다. 반면 75세 이상은 느슨하게 관리하도록 한다. 혈당 수치보다는 저혈당 등 부작용을 예방하는 것이 우선이다.

미국당뇨병학회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당화혈색소 (3개월간 혈당 조절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정상 6.5% 이하)를 ▲건강한 노인은 6.5~7.0% ▲쇠약한 노인은 8.5% 이하 ▲매우 쇠약한 노인은 9.0% 이하를 목표로 삼는다. 



분당 서울대 병원 내분비내과 임 수 교수는 75세 이후에는

"집안 일·목욕 같은 일상생활을
혼자서 무리 없이 한다면 健康 한 老人,

누군가의 도움이 약간 필요하면 老弱한 老人,

혼자 서는 불가능 하면 매우 衰弱한 老人으로 구분한다" 면서

"일상생활 수행 능력이 떨어 지기 시작하는 나이가

75세 前後" 라고 말했습니다.

비교적 젊고 건강한 75세 미만 老人은 살을 빼고

過食을 避 해야 하지만 75세 이상 이면서 衰弱해진 老人은

고기 등 단백질을 되도록 많이 먹으면서 체중이 줄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血壓의 관리도 비슷합니다.
高齡 患者의 적절한 목표 혈압에 대한 결론은 아직 확실히

나오지 않았지만 진료 현장에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목표

혈압을 중장년 층보다 높게 정하고 있습니다.

65~74세는 140/90(㎜Hg) 미만,

75세 이상은 150/90 또는 160/100 미만으로 관리하기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보라매 병원 가정의학과
오범조 교수는 "고령 환자의 혈압을 너무 강하게 관리하면

저혈압 등 부작용으로 더 위험 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콜레스테롤도 마찬가지로 고령 일수록 적절히 높게 관리

하는 것이 되려 유병률이 낮아진다고 합니다.

2016년 국민건강 영양조사를 보아도 75세 이후엔

콜레스테롤 수치를 적절히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콜레스테롤은 혈관 벽의 주요
재료임으로 너무 줄어들면 혈관벽이 약해져 뇌졸중·

심근경색의 위험이 오히려 높아진다고 합니다.

또 나이 들수록 과체중일 때 치매 위험이 낮아져서

의사들은 75세 이후 부터는 고기·과일 등을 충분히

먹으라고 권장하고 있습니다.

75세 미만은 체중이 적을수록,

75세 이상은 약간 과체중이어 야 사망률이 낮아 진다고 합니다.''

임 수 교수는 "75세 이후의 과체중은 신체기능 저하로부터

일종의 완충재 역할을 한다"고 하면서 "체질량지수(BMI)

기준 23~25가 적당하다"고 말했습니다.

체중이 치매에 미치는 영향도 75세를 전후로 확연히 다르다고 합니다.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노인 68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에 따르면,

60~69세의 경우 비만일 때 치매 위험이 정상 체중보다 70% 높았지만

70세 이상에선 오히려 3%,

80세 이상에서는 비만일 때 치매 위험이 22%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이상의 내용을 보면 75세 이후로는 너무 혈당과 혈압 콜레스테롤과

과체중 등에 묶여서 먹고 싶은 것 마시고 싶은 것들을 너무 참지 마시고

맛있게 즐겁게 드시는 것이 건강하게 지내는 방법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