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무증상... 본인도 모른 채 주위에 전파 가능성
질병관리청은 3일 열린 국가건강검진위원회의 결정 결과, 2025년부터 56세에 해당되는 사람은 국가건강검진을 받을 때 C형간염 항체검사를 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C형간염은 환자의 혈액이나 체액을 통한 C형간염 바이러스(HCV) 감염으로 발생하는 간 질환이다.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 바이러스 간염, 간경변증, 간부전, 간암으로 진행될 수 있는 감염병이다.
국내 간암 원인은?… B형간염 72%, C형간염 10%~15%, 술 9%
대한간학회에 따르면 국내 간암 발생의 10%~15%는 C형간염이 원인이다.
C형간염 환자의 54%~86%는 만성 간염으로 진행되고, 이들 중 15%~51%는 간경
변증으로 진행된다.
간경변증에서 간암 발생 위험도는 연간 1~5%로, 나이가 많을수록 그 위험도가 높아진다.
대한간암학회 조사에선 간암 원인 가운데 B형간염 72%, 음주가 9%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예방 백신 있는 B형과 달리 C형은 없어… 일찍 발견해 빨리 치료해야
가장 큰 간암 원인 B형간염은 예방 백신이 있다. 그러나 40대 이상은 어릴 때 접종이 의무가 아니어서 백신을 맞지 않은 사람들이 많다.
C형간염은 예방 백신이 없지만 치료제가 있다. 감염 사실을 빨리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료제는 항바이러스제로 8~12주 투여로 98~99% 완치 가능하다.
C형간염 환자의 대부분(약 70%)은 증상이 없어 만성화 되거나 중증 간질환으로 진행된 이후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무증상 환자를 조기 발견하는 것이 과제다.
C형간염 2020년 1만1849명, 지난해 7249명… 성접촉 등으로 전파
C형간염은 2020년 1만 1849명 이후 감소 추세이나 지난해에도 7249명의 환자가 나왔다.
전파경로는 성접촉, 수혈, 혈액투석, 주사기 공동 또는 재사용 등 혈액이나 체액에 의해 감염된다.
감염자의 장기를 이식하거나 산모가 아이를 낳을 때 수직감염 되기도 한다. 문신이나 피어싱에 의해서도 전파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식사, 포옹, 손잡기 등 일상 접촉이나 기침 등으로 C형간염이 전염되지 않는다.
대부분 무증상… 본인도 모른 채 주위에 전파 가능성
급성 C형간염은 드물게 감기 몸살 증세, 발열, 피로, 메스꺼움, 식욕부진, 어두운 색의 소변, 오른쪽 상복부 불쾌감, 복통, 구역, 구토, 관절통, 황달이 나타난다.
평균 잠복기는 7~8주이며 70~80%가 무증상이다. 만성 C형간염 역시 대부분 무증상이며 일부 환자에서 피로, 메스꺼움, 근육통, 관절통, 체중감소가 보인다.
C형간염은 무증상이 많아 전파 위험이 매우 높다.
C형간염 항체검사 결과 음성이면 환자가 아니다.
양성의 경우 현재 C형간염을 앓고 있거나 과거에 감염되었다가 치유되어 현재는 환자가 아니어도 항체검사에서 양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확진검사를 통해 현재 감염여부 확인이 필요하다.
간암 사망률 너무 높다… 40대 2위, 50대 1위, 60대 2위
간암은 사망률이 매우 높다. 통계청의 2022년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연령별 간암 사망률은 40대 2위, 50대 1위, 60대 2위에 달한다.
질병관리청은 국가건강검진에서 C형 간염 항체양성을 통보받은 사람들이 확진 검사를 일찍 받을 수 있도록 확진검사 비용 지원 방안을 마련중이다.
김윤준 대한간학회 이사장은 “C형간염은 무증상이 많아 조기발견과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중증 간질환으로 진행되는 것을 막기 위해 C형간염 진단 후 곧바로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용 기자 ecok@kormedi.com
출처 : 코메디닷컴 kormedi.com
만성 C형 간염
만성 C형 간염은 6개월 이상 동안 C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HCV)에 감염되어 HCV RNA 검사에서 양성 소견을 보이고 간에 만성적인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만성 C형 간염의 원인은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입니다. 혈액을 통한 감염이 가장 많으며, 주된 감염 경로는 오염된 침, 바늘, 면도기 등이나 문신, 귀 뚫기 등과 같은 침습적 행위입니다. 과거에는 수혈을 통해 C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그러나 1992년에 모든 헌혈 혈액에 대해 C형 간염 감시 검사를 시행한 이후부터 수혈을 통한 감염은 매우 드물게 발생합니다. 또한 매우 드문 확률이지만, 감염된 산모로부터 신생아에게 수직 감염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만성 C형 간염은 대부분 무증상입니다. 이 질환은 건강검진 등을 통해 우연히 확인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부 환자에게는 피로감, 소화불량, 상복부의 불편감, 황달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만성 C형 간염 환자는 대부분 증상이 없으므로 검사를 시행하지 않으면 이 질환에 걸렸는지 알 수 없습니다. 만성 C형 간염을 진단하기 위해 간 기능 검사 및 간염 바이러스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혈액 검사를 시행합니다. 만성 C형 간염은 Anti-HCV와 HCV RNA가 모두 양성으로 나옵니다. Anti-HCV만 양성이라면, 과거에 감염되었다가 현재 호전되었음을 의미합니다. HCV RNA만 양성인 검사 결과는 대개 초기 급성 C형 간염 환자나 만성 C형 간염 환자 중 면역 저하 환자, 장기 이식 환자, 혈액 투석 환자에게 나타납니다.
필요한 경우, 간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간 질환의 정도를 파악합니다. 간 기능 검사의 이상 정도와 조직 내 염증의 빈도가 반드시 비례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만성 C형 간염 환자는 3~6개월에 한 번씩 혈액 검사와 함께 초음파, CT를 시행하여 간 상태와 복부 장기의 상태를 관찰해야 합니다.
만성 C형 간염은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를 8~16주 정도를 사용하여 치료합니다. 간염 바이러스 유전자형, 간경변의 유무, 과거 치료력 등을 고려하여 약제의 종류와 사용 기간을 결정합니다.
치료를 완료한 환자의 90% 이상에게서 바이러스가 완전히 박멸됩니다.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한 적극적인 만성 C형 간염 치료를 권장합니다.
만성 C형 간염의 임상 경과는 매우 다양합니다. 만성 C형 간염의 30% 정도는 간경변증으로 진행됩니다. 이 경우 간암까지 진행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만성 C형 간염 환자는 적극적인 치료와 정기적인 관리를 받아야 합니다.
C형 간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예방입니다. C형 간염은 B형 간염과 달리 백신이 개발되어 있지 않고 면역글로불린도 없습니다. 체액을 통해 C형 간염 바이러스가 전파되지 않도록 각별하게 주의해야 합니다. 주삿바늘, 침, 면도기, 칫솔, 피어싱 기구 등을 다른 사람과 함께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출혈을 유발하는 성교는 피하고, 가능하면 콘돔을 사용해야 합니다. 환자는 개인 세면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